혐오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
혐오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 표
조항 | 내용 |
---|---|
제1조 (목적) | 인터넷서비스에서 혐오표현 피해 예방 및 구제 절차 마련으로 이용자 보호와 표현의 자유 존중을 목적으로 함. |
제2조 (정의) | 혐오표현, 차별, 특정 속성 등에 대한 정의 제공. |
제3조 (기본원칙) |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 최대한 존중, 특정 집단 보호, 혐오표현 피해 예방 및 신속 구제 노력. |
제4조 (적용범위) | KISO 회원사의 공개 인터넷서비스에 적용. 비공개 영역도 신고 시 적용 가능. |
제5조 (회원사의 의무) | 표현의 자유 보장, 혐오표현 피해로부터 이용자 보호, 가이드라인 고지, 예방적 조치 마련 및 신속한 피해 구제 노력. |
중요 내용 5가지
- 표현의 자유 존중: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여 무조건 제한하지 않음.
- 특정 집단 보호: 혐오표현으로 인한 차별과 배제를 방지하여 사회의 다양성을 보장함.
- 피해 예방과 구제: 혐오표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구제하기 위한 노력.
- 적용범위: KISO 회원사의 공개 인터넷서비스에 적용하며, 비공개 영역도 피해구제 필요 시 적용 가능.
- 회원사의 의무: 표현의 자유 보장, 혐오표현 피해로부터 이용자 보호, 가이드라인 고지 및 예방적 조치 마련.
혐오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의 목적
혐오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은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(KISO) 회원사가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에서 혐오표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구제 절차를 마련하여 이용자를 보호하고자 제정되었습니다. 이 가이드라인은 표현의 자유가 존중되는 건강한 인터넷 문화를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
혐오표현의 정의
혐오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에서 중요한 용어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혐오표현: 인종, 국가, 민족, 지역, 나이, 장애, 성별, 성적지향, 종교, 직업, 질병 등의 특정 속성을 이유로 특정 집단이나 구성원에 대해 차별을 정당화, 조장, 강화하거나 폭력을 선전, 선동하는 표현입니다.
- 차별: 특정 속성을 이유로 특정 집단이나 그 구성원을 분리, 구별, 제한, 거부하거나 불리하게 대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폭력 선전·선동: 특정 속성을 이유로 특정 집단이나 구성원에게 신체적, 정신적 해를 입히자는 주장을 포함합니다.
기본원칙
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표현의 자유 존중: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가 최대한 존중되어야 하며, 비판적 표현으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무조건적으로 제한해서는 안 됩니다.
- 특정 집단 보호: 혐오표현으로 인해 특정 집단이 차별받지 않도록 보호하여 사회의 다양성을 보장해야 합니다.
- 피해 예방과 구제: 혐오표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신속하게 구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.
- 건강한 인터넷 문화 조성: 이용자의 혐오표현에 대한 인식과 자율적인 참여를 통해 건강한 인터넷 문화를 조성합니다.
적용범위
이 가이드라인은 KISO 회원사가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 중 일반에게 공개된 영역에 적용됩니다. 비공개 영역이라도 신고를 통해 피해구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습니다.
회원사의 의무
KISO 회원사는 다음과 같은 의무를 갖습니다:
- 표현의 자유 보장: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인터넷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.
- 이용자 보호: 인터넷 환경 내 혐오표현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
- 가이드라인 고지: 가이드라인을 이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고지해야 합니다.
- 예방적 조치 마련: 혐오표현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예방적 조치와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.
- 신속한 피해 구제: 혐오표현으로 인한 피해를 신속하게 구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.
혐오표현 정리
![혐오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](https://www.theselfimprovementhomepage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7/screenshot_2024-07-06_오후-5_34_35.jpg)
혐오표현 자율정책 가이드라인은 건강한 인터넷 문화를 조성하고,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면서도 혐오표현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구제하기 위한 중요한 지침입니다. KISO 회원사는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용자를 보호하고 인터넷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